![]() |
2025년 퇴직 소득세 개정 최대 소득세 50%할인 받는 방법 |
📌 2025 퇴직 소득세 개정 확인하기 – 은퇴자를 위한 절세 가이드
2025년부터 퇴직 소득세가 개정됩니다. 연금으로 받을 경우 추가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최대 소득세를 50%까지 할인 받는 방법 빠르게 세법 개정 사항을 확인하려면 아래 에서 확인하세요.
📢 2025년 퇴직 소득세 개정 – 절세 전략 가이드
퇴직 소득세율이 다시 한 번 변경됩니다. 이번 개정안에서는 퇴직금을 연금으로 수령하는 경우 추가 감면 혜택이 확대됩니다. 오랜 시간동안 쌓아온 아주 소중한 우리의 퇴직 소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세금을 절감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📌 1. 세법 개정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항목
✅ 1) 퇴직금을 연금으로 수령 시 세금 감면 확대
퇴직금을 한 번에 받는 것보다, IRP(개인형 퇴직연금) 계좌에 넣고 1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세금 감면 혜택이 증가합니다.
🔹 기존 혜택:
- 10년 이하 연금 수령 시 퇴직 소득세 30% 할인
- 10년 초과부터 퇴직 소득세 40% 할인
예시1). 퇴직금 1억원(퇴직소득세율 여러가지를 감안해서 10%가정)
1억원 (퇴직금 일시불) - 1천만원(퇴직소득세율10%) = 9천만원(현금수령)
1억원(연금분할10년) : 매년 연금액 1천만원 - 퇴직소득세(7%) 70만원x10년 = 700만원(총세금)
1억원(연금분할20년) : 500만원씩 20년간 수령
10년까지는 소득세율 7%, 11년~20년차는 소득세율 6% = 650만원(총 세금)
🔹 2025년 개정 후:
- 20년 이상 연금 수령 시 퇴직 소득세 50% 할인
예시2). 21년차 후~ 소득세율 5%
여기서 팁: 퇴직소득세율 50% 할인 받는 방법
~20년차까지는 소액만 받고 20년차후부터 50% 혜택받는 방법도 있습니다.
✅ 2) 소득세 분류 과세 유지
퇴직금은 다른 소득과 합산되지 않고, 분류 과세가 적용됩니다. 이에 따라 누진 과세를 피할 수 있어 세율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.
✅ 3) 사회보장 연금 과세 기준 완화
연분연승: 근속연수로 나눈 금액으로 세율 계산.
연소득이 일정 금액 이하인 은퇴자는 사회보장 연금에 대한 세금 부담이 줄어듭니다.
📌 2.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전략
퇴직금을 일시불로 받더라도 세율이 높지는 않으나 이런저런 이유로 날릴 위험이 있습니다.
그래서 국가에서 '퇴직 연금 제도'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🔹 1) 퇴직금을 IRP 계좌에 넣고 연금으로 받기
퇴직금을 IRP 계좌에 넣고 20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하면 최대 50%의 세금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.
🔹2) 연금 수령 기간을 길게 설정하기
연금을 짧게 받는 것보다 최소 20년 이상 나누어 받으면 감면 혜택이 커집니다.
🔹3) 퇴직금을 irp로 받는 방법
- 근로자 : IRP 계좌 개설(은행, 증권사, 보험사 등)
- 근로자 : 퇴직신청시 IRP 계좌번호를 회사에 제출
- 회사 : 금융기관에 퇴직소득세 과세이연 등록 요청
퇴직소득원천징수영수증(퇴직소득 과세이연 기재)을 작성하여 금융기관에 제출
- 회사 : IRP 계좌로 퇴직금(세전 퇴직금) 입금
🔹irp계정으로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 사유
- 55세 이후 퇴직한 경우
- 퇴직금이 300만원 이하인 경우 (관련 노동부 고시)
- 사망으로 인한 당연퇴직인 경우
- 외국인 근로자가 국외 출국한 경우
- 타법령에서 퇴직소득을 공제할 수 있도록 한 경우
개인연금이든 퇴직연금이든 오래 사는 기간동안 안정적인 노후생활과 더불어 세제 혜택도 더 많이 받으시기 바랍니다.
이미지 자료 출처